컴퓨터에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과 대책
제가 엔지니어 시절 만 대가 넘는 컴퓨터, 노트북들을 수리해 왔고 또 다른 컴퓨터 업체에서 수리해 온 결과물들을 보면서 느꼈던 점들은 문제가 발생하는 컴퓨터들은 수리를 해도 머지 않아 또 발생합니다. 윈도우 문제가 많아서 컴퓨터 업체를 불러서 포맷도 하고 윈도우도 새로 설치했는데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또 컴퓨터가 이상해지는 경험들을 하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물론 사용하시는 분이 유독 별나신 분이라 이상한 유해사이트들에 많이 들어가다보니 이런 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만 대체적으로 컴퓨터가 이상해지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컴퓨터에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
딱히 컴퓨터로 하는 것도 없는데 컴퓨터가 너무 느리고 처음보는 이상한 프로그램들이 자꾸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무엇이 과연 나의 컴퓨터를 이렇게 만들어 놓고 있을까요? 한번 알아 보겠습니다.
1. 멀웨어(Malware) : 바이러스, 트로이목마, 애드웨어(adware) 같이 시스템을 망가뜨릴 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보를 해킹하기도 합니다. 문제는 내가 설치하지 않아도 어떤 웹사이트에만 들어가도 자동으로 감염된다는 것입니다.
2. 랜섬웨어 :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컴퓨터의 중요한 파일들을 암호화 시켜나가면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 뒤 이것을 풀어주는 댓가로 금전을 요구합니다. 문제는 돈을 지불한다고 해서 100% 복구된다는 보장이 없다는 것입니다.
3. 윈도우즈 업데이트(Windows Update) 미비 : 특히 윈도우XP, 윈도우7, 8.1 사용하시는 분들은 업데이트를 거의 안하시는 것 같습니다. 물론 컴퓨터 업체측에서도 업데이트를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한꺼번에 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업데이트를 하지 않으면 윈도우 자체 버그나 취약점, 문제점 보완이 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바이러스에 노출됩니다.
4. 검증되지 않은 튜닝 윈도우 설치 : 개인이 튜닝을 해서 불법으로 올려놓은 것들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했는데 컴퓨터와 맞지 않은 경우
5. 오래된 컴퓨터, 하드웨어 문제 : 노후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컴퓨터를 수리하자고 업체에 보내놨더니 오히려 컴퓨터가 다운그레이드 되어 돌아온 경우(사양이 더 낮아져서). 이런 피해를 입으신 분들이 은근히 많은 것 같습니다. 아직도 SSD가 아닌 HDD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그 외에도 다양한 변수들이 있습니다만 대체적으로 위의 경우가 많았습니다. 사실 컴퓨터를 잘 사용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초기 설정에 의해 많이 좌우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초기세팅을 좀 신경써서 해 놓으면 생각보다 컴퓨터들을 오래 잘 사용할 수 있음에도 한 달도 채 못가서 계속 문제가 일어나는 컴퓨터의 공통적인 특징은 초기세팅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포맷하고 윈도우를 새로 설치한 이후에 필수 프로그램
아직도 윈도우7이나 8.1을 사용하고 계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아직 기업이나 사무실은 그대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는 포맷하고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고 나서 바로 이렇게 세팅을 합니다.
1. 윈도우즈 업데이트(Windows Update) : 무조건 해 주셔야 합니다. 윈도우8.1이나 10은 좀 용이하지만 윈도우7은 업데이트 버그 및 무한로딩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게 업데이트 자체가 CPU나 램 할당량을 너무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이럴 때에는 구글에서 윈도우7 업데이트팩 통합 설치 패키지를 검색 하셔서 업데이트 패키지를 다운받아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굳이 윈도우즈 업데이트를 계속 켜놓을 필요가 없이 한꺼번에 업데이트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앱체크(Appcheck) : 랜섬웨어 같은 멀웨어 예방 프로그램입니다. 이것만 제대로 설치가 되어 있어도 현존하는 랜섬웨어들은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악의 상황을 피해갈 수 있습니다.
3. 바이러스 백신 : 윈도우즈 자체 백신은 윈도우즈 디펜더도 있고 시중에 나오는 무료 백신들도 있습니다만 성능이 좋은 유료 백신도 프로모션을 많이 하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저는 현재 ESET의 스마트시큐리티라는 백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오진율도 적고 유해사이트(바이러스)도 원천 차단해주기 때문입니다. 정말 돈을 한 푼 내고 싶지 않다면 각 유명 회사의 유료 백신들을 하나하나씩 트라이얼 버전으로 돌아가면서 사용할 수도 있겠고, 그냥 무료백신을 사용하셔도 무방하다고 봅니다.
4. 크롬 브라우저 : 윈도우10의 엣지도 쓸만합니다. 요즘에는 일부 엑티브X를 사용하는 사이트들을 제외하면 크롬에 많이 최적화된 사이트들이 많습니다. 좋은 확장 프로그램들도 많이 있구요. 세계 점유율 1위 답습니다.
5. 반디집(압축프로그램), 꿀뷰(사진뷰어프로그램) : 알집, 알씨는 개인에게만 무료이고 사무실(회사)에서 사용하면 라이센스 위반이 됩니다.
6. 한컴오피스, MS오피스 : 저는 한글을 자주 이용하는 편입니다. 개인용은 비용도 저렴하게 나오고 있구요. 사무실은 기업용 버전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라이센스 때문에 금전적으로 고민이신 분들은 오픈 오피스도 괜찮고, 구글이나 네이버 클라우드에 있는 오피스 프로그램 활용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7. iobit systemcare 또는 CCleaner : 이미 알려질대로 알려진 만큼 유명한 컴퓨터 최적화 프로그램입니다. 고클린이나 프로세스 클린 같은 프로그램들도 있습니다만 저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8. 어도비(adobe) 리더(Reader), 플래시 플레이어(Flash Player) : 엣지나 크롬 브라우저 자체에서도 PDF 읽기가 가능합니다만 저는 리더를 따로 설치해서 사용하는게 더 편하더군요. 플래시 취약점을 이용한 바이러스 감염도 많으니 플래시 플레이어는 최신버전으로 설치하고 유지해 줍니다.
물론 사용용도에 따라 세팅해야 하는 프로그램들이 제각기 있습니다만 초기 설정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윈도우즈 업데이트, 장치 드라이버, 바이러스 백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랜섬웨어 피해자들의 대다수가 윈도우7 사용자들이었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윈도우즈 업데이트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특수한 상황에 있지 않다면 윈도우10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윈도우10은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위의 세 가지가 해결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유지보수 할 때 알아두어야 할 점들 (0) | 2017.10.11 |
---|---|
PC통신에서부터 인터넷까지 (0) | 2017.10.06 |
노트북 고장 증상과 원인 (0) | 2017.09.30 |
컴퓨터를 원격관리하는 방법들 (0) | 2017.09.25 |
저사양 컴퓨터에서 윈도우10을 사용하려면 (0) | 2017.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