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록실

컴퓨터 유지보수 할 때 알아두어야 할 점들





요즘 소프트웨어 저작권에 대한 이슈들이 많습니다. 대략적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업체에서 법무법인에게 의뢰하고 1차적으로 알바가 사업장에 일반 손님으로 들어가서 몰래 채증을 해서 제출하는 방식입니다. 그것으로 법무법인에서 채증자료와 함께 업체 측에 공문을 보내어서 통보하고 연락이 오면 2차적으로 소프트웨어 업체의 엔지니어 팀이 실사를 와서 견적서를 만들어주는 형식입니다. 


사무실이나 PC방, 심지어는 숙박업을 하는 곳에도 등장한다고 합니다. 갑자기 불법소프트웨어를 쓰고 있으니 연락하라는 식의 공문이 날아오면 아무래도 이런 상황을 겪어보지 못하신 업주 분들은 많이 당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초래된다는 것입니다.


개인의 경우에는 무료로 쓸 수 있는 프로그램들(예를 들면 알집, 알약 등)이 사업체에서 사용할 경우 기업용 버전을 구입을 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우리가 무심코 무료라는 생각으로 설치했던 것들이 나중에는 적발이 되면 불법이 되는 셈이죠. 유지보수를 했던 사람의 입장에서 주의사항을 몇 가지만 서술해 보겠습니다. 


가장 많이 적발되었던 사례들 중에서는 컴퓨터를 구매했을 경우입니다. 새 컴퓨터를 구매해서 윈도우즈와 오피스, 한글 등을 새로 설치했는데 알고보니 그게 불법 라이센스였던 경우, 중고 컴퓨터를 구매했고 받았을 때부터 윈도우즈와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다 설치되어 있었는데 알고보니 불법 라이센스인 경우, 정품 컴퓨터를 구매했었는데 기업용 버전이 아닌 경우로 구분될 수 있겠습니다.


가장 많이 적발되는 프로그램들이 윈도우즈, 한글, 오피스 입니다. 물론 적발되면 소비자정가로 구매해야 하고 따로 과태료까지 납부해야 하니 컴퓨터 대수가 많으면 많을 수록 엄청나게 불어나는 셈이죠.



컴퓨터를 구매하실 때 체크리스트


1. 새 컴퓨터를 구매했을 때


- 예를 들면 삼성, LG 같은 메이커 제품을 구매하실 때 라이센스 스티커를 보면 Pro(프로페셔널, 얼티밋에디션) 버전의 스티커가 붙어있어야 합니다.  Home(홈에디션, 홈프리미엄) 에디션은 가정용이기 때문에 기업(회사) 사무실에서 사용하게 되면 불법이 됩니다. 


- 요즘은 큰 쇼핑몰에 들어가서 조립식 컴퓨터를 구매하실 때, 윈도우즈와 오피스 라이센스도 함께 구매할 수 있는 옵션도 함께 있습니다. 


- 알집, 알약 같은 프로그램도 기업용 라이센스를 구매하셔서 사용하셔야 합니다(물론 대체할 수 있는 무료 프로그램들도 있습니다). 



2. 중고 컴퓨터를 구매했을 때


- 중고카페, 업체에서 중고 컴퓨터를 구매할 때는 포맷, 윈도우즈, 오피스, 한글 등 모든 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 옵니다만 불법이 됩니다. 아이러니 한 것은 그렇게 판매를 한 곳을 잡아야 하는데 모든 책임은 소비자에게 돌아간다는 것입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정당한 비용을 내고 구입한 물건이 폭탄인 셈이죠. 그런데 모든 책임은 소비자에게 있다고 합니다.


- 특히 판매 업체 측에서는 아무래도 빨리 윈도우즈를 설치하기 위해 고스트 프로그램을 주로 사용하고 있을 텐데요. 고스트 프로그램도 불법이 됩니다. 파티션에 고스트 프로그램을 사용한 흔적이 나오게 되는 것이죠. 당연히 판매측에게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생각이 되시겠지만 실제로 소프트웨어 업체나 법무법인 측과 대화를 해 보면 일단 불법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가 책임이 있고, 불법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유통했던 곳은 소비자가 직접 알아서 해결하라고 얘기합니다.


- 중고 컴퓨터를 구매하실 때에는 새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윈도우즈 라이센스가 있는지 보셔야 하며, 없다면 윈도우즈 라이센스를 구매하셔야 합니다. 한글, 오피스도 마찬가지겠지요.



3. 정품을 구매할 여력이 없을 때


- 윈도우즈나 오피스 같은 경우는 중고카페 같은 곳에 보시면 저렴하게 구매하실 수도 있습니다.


- 기업들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들을 찾아서 대체하면 됩니다(예를 들면 반디집, 오픈 오피스, 네이버 오피스, 구글 등).


- 심지어는 리눅스를 사용하면 어떨까 생각을 할 수도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리눅스는 일반 사무실에서 업무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익숙하지도 않고 우리나라 프로그램이나 인터넷 환경에 맞지 않기 때문에 많은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습니다.